✈️ 2025년 항공운송 시장, 이렇게 보면 된다
안녕, 20세기 물류형이야!
지난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2025년 항공운송 시장을 전망해보려고해
2025년 항공운송 시장, 분위기 심상치 않아.
이커머스 수요도 다시 올라오고, 각종 규제랑 공급 변화,
게다가 대한항공·아시아나 통합까지…
물류팀이 놓치면 안 되는 포인트가 너무 많거든.
그래서 오늘은 형이 딱 세 가지 키워드로
2025년 항공운송 시장 전망을 정리해줄게.
바쁘더라도 아래 표 하나만 보면 핵심은 바로 들어올 거야 👇
📌 2025년 항공운송 시장 요약표
✈️ 운임 전망 | 2024년 피크 시즌 이후 상승세 유지, 2025년에도 안정적 강세 예상. 특히 아시아-미주 노선 중심으로 높게 유지될 가능성 |
📦 수요 & 공급 | 수요는 +46% 증가, 공급은 +34% 증가 전망. 수요가 공급을 앞서면서 일부 노선은 운임 추가 상승 여지도 존재 |
📊 마켓 이슈 | 대한항공·아시아나 통합 → 단일 FSC 출현. 글로벌 경쟁력은 ↑, 국내 경쟁 약화 및 운임 상승 우려도 함께 존재 |
항공운임 전망
📈 지수 자체는 꽤 올랐다!
2024년 4분기 항공운임은 확실히 상승세였어.
TAC Index 기준으로 작년보다 꾸준히 높은 수준 유지 중이고,
연말 피크 시즌 효과가 꽤 컸어.
특히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수요가 빵! 터지면서
운임이 계속 강하게 받쳐줬지.
항공사들도 대비하느라
화물기 투입하고 사전 준비 많이 했는데…
수요가 워낙 강해서 운임 오름세를 막기엔 역부족이었어.
📌 52주 차 기준 운임지수는 2,510
전주 대비 3.5% 상승
→ 크리스마스 지나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다는 거!
📊 2023년 vs 2024년, 피크 시즌 운임 비교
- 2023년 피크 시즌 운임 상승률: +39.3%
- 2024년 피크 시즌 상승률: +19.4%
이번 연말도 오르긴 했지만,
작년보다는 덜 급격한 오름세였던 거야.
그래도 여전히 높은 수준인 건 맞고!
🌏 노선별로 보면 분위기 다르다?
📦 베트남 → 미국 노선
- 중국발 전자상거래 물량 덕분에
꾸준히 높은 운임 유지 - 4분기 평균: $7.88/lb
- 전 분기보단 올랐지만
작년 동기 대비 5.7% 하락
→ 살짝 주춤한 흐름
🛫 홍콩(HKG), 상하이(SHA) 출발 노선
- 분위기 완전 달라!
- 피크 시즌 수요 + 내년 시장 기대감 겹쳐서 급등
📍 홍콩발 평균 운임: +11.2% 상승
📍 상하이발 평균 운임: +12.0% 상승
이거 전부 미국·유럽향 이커머스 수요 폭발 영향이야.
요즘 진짜 전자상거래가 항공운송 시장을 좌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냐. 🚀
✅ 한마디로 정리하면?
2024년 4분기 항공운임 시장은
- 📈 작년보단 완만하지만 확실한 상승세
- 🔥 아시아-미주 노선은 여전히 핫
- 🛍️ 전자상거래 수요가 시장을 움직이고 있다!
🔮 그럼 2025년은 어떨까? 삼성 SDS 전망 들어보자
삼성 SDS는 항공 운임 예측 프로젝트를 꾸준히 진행 중인데,
TAC Index, 화물 공급량, 여객기/화물기 수요, 여객 수요(RPK) 등을 기준으로
항로별 운임 흐름을 전망하고 있어.
📊 2025년 HKG(홍콩) → US 노선 운임 전망
1분기 | $5.29 ~ $6.38 |
2분기 | $5.62 ~ $5.86 |
3분기 | $5.71 ~ $5.83 |
4분기 | $6.05 ~ $7.44 🔼 |
→ 특히 4분기에 피크 시즌이 다시 강하게 올 가능성이 보인다고 해.
🌍 HKG → EU 노선은?
1분기 | $5.17 ~ $5.65 |
2분기 | $5.13 ~ $5.31 |
3분기 | $5.26 ~ $5.37 |
4분기 | $5.32 ~ $6.06 |
→ 전체적으로 미주 노선보단 좀 더 안정적인 흐름.
📦 특이점: 관세 리스크도 운임에 반영되고 있어
2025년 들어 다시 불거지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 이슈도 큰 변수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전 제품에 10%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면서,
중국 화주들이 조기 출하에 나섰고, 그 영향으로
"상하이-미국 노선 운임이 1월 한 달 만에 11.6% 급등"
한마디로, 단순히 수요·공급만 보는 게 아니라
정치적 변수도 항공운임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는 것!
✏️ 형이 요약해줄게!
📈 운임 흐름 | 2024년 4분기 상승세 유지, 2025년에도 전반적으로 강세 전망 |
🌎 노선별 흐름 | HKG-US는 4분기 피크 뚜렷 / HKG-EU는 안정적 회복 |
🔥 변수 | 전자상거래 수요 + 관세 리스크가 운임에 큰 영향 |
수요 및 공급 전망
🔹 수요: 전자상거래 + 고가 화물 중심으로 확실히 살아난다
2025년 글로벌 항공 화물 수요는 약 4~6% 성장할 전망이야.
특히 IATA에 따르면 2024년 11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수요가 9.5% 증가하면서 이미 회복 흐름이 보였어.
👉 수요 회복의 핵심 포인트는 이거야:
- 📦 전자상거래 물량 증가 (특히 아시아발)
- 💎 고부가가치 화물 (IT 부품, 반도체, 의약품 등)
- 🧳 여객 회복 → 벨리 공간 활용 증가
- 🌍 지역별 편차 존재 (북미·중남미 회복 속도 ↑ / 중국 노선 여전히 제한적)
🔹 공급: 여객기 복귀 + 화물기 유지 → 공급도 점진적 확대
2025년에는 항공 화물 공급도 약 3~4% 증가할 것으로 보여.
그럼에도 수요가 더 앞서는 흐름이라서, 일부 노선에서는
공급 확대에도 불구하고 운임이 안정세 혹은 추가 상승 가능성도 있다는 게 포인트야.
💺 여객기 복귀에 따른 벨리 공간(하부 화물칸) 공급 증가가 핵심이야.
특히 2024년 기준으로는 북미, 중남미 등에서
여객 좌석 공급이 크게 증가하면서 화물 운송량도 덩달아 늘었지.
📊 정리해보면 이런 흐름이야:
성장률 전망 (2025) | +4~6% | +3~4% |
주요 원인 | 이커머스, 고가 화물, 수출 조기화 | 여객기 복귀, 화물기 유지 |
지역별 특징 | 아시아-미주 뜨거움, 유럽은 완만 | 북미·중남미 공급 활발, 중국은 제한적 |
시사점 | 수요 > 공급 → 운임 상승 또는 유지 가능성 |
📈 IATA 데이터 기준, 2024년 말 수치 보면:
- CTK (수요): 9.5% 증가
- ACTK (공급): 6.5% 증가
- CLF (화물 탑재율): 54.6%
→ 탑재율이 올라가면 운임도 강세를 보일 수 있어
🧭 형의 요약!
✅ 수요는 확실히 회복 중이고
✅ 공급도 늘고 있지만 아직 수요를 따라가진 못하고 있어
✅ 특히 아시아-미주 노선은 뜨거운 경쟁 + 고운임 지속 가능성
✅ 운임 하락보다는 안정적 유지 or 추가 상승 가능성이 더 커 보여
마켓이슈
✈️ 마켓 이슈: FSC 통합, 항공 화물 시장은 어떻게 바뀔까?
2024년 12월, 드디어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지분 63.88% 인수하면서
한국은 이제 단일 FSC(Full Service Carrier) 체제로 바뀌게 됐어.
38년간 이어져 온 대형 항공사 양대 체제가 종료된 건데,
이게 항공 화물 시장에도 꽤 큰 변화를 줄 수 있어.
🛫 단일 FSC 등장, 공급 확장과 네트워크 강화 기대
- 대한항공은 2024년 기준 225대의 항공기를 보유,
명실상부 한국 대표 메가 캐리어로 자리매김 - 글로벌 네트워크도 강화:
아일랜드, 덴마크, 스리랑카, 페루 등 신규 노선 확대 기대 - 화물 경쟁력 강화 효과
현재 대한항공은 화물 수송 세계 6위,
아시아나는 23위 → 통합되면 Top 10 내 진입 확실시 - 미국, 유럽 등 규제당국 승인 조건 따라 일부 노선 양도됐지만,
전체 네트워크는 더 넓어지고 화물 경쟁력도 커질 전망
📉 하지만 우려도 존재해
✔️ 경쟁 약화: 국내 항공시장이 단일화되며
서비스 품질 저하, 운임 상승 우려가 나올 수 있음
✔️ 자산 매각 및 슬롯 재배분 이슈:
규제 당국 승인 조건에 따라 일부 노선·자산 매각 → 외국 항공사에게 기회, 국내 항공사로선 자산 유출 리스크
✔️ 슬롯 회수 문제: 예전 아시아나가 가진 슬롯 일부를 에어프레미아 등
다른 항공사에 넘기게 되면서 공급 불균형 가능성도 거론됨
🧭 형이 요약해줄게!
✅ 긍정 |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화물 수송 10위권 진입, 신규 노선 개설 기대 |
⚠️ 우려 | 국내 경쟁 약화, 운임 상승, 외항사에 슬롯 유출 가능성 |
📌 시장에 미치는 시사점은?
- 화물 시장: 단일 FSC로서 규모의 경제 효과
→ 운임 협상력 강화 + 글로벌 화주 대응력 상승 - 운임 영향: 단기적으로는 일부 노선 운임 상승 가능
→ 특히 대한항공이 주도하는 노선에서 프리미엄 운임 유지될 수 있음 - 글로벌 위상 강화:
통합 효과가 본격화되면, 국제 시장에서의 입지는 더 견고해질 거야
✍️ 결론: 2025 항공운송, 이렇게 정리하자!
2025년 항공운송 시장은 이커머스 수요 회복과 함께
수요 > 공급 구조, 그리고 항공사 재편이라는 흐름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어.
글을 읽다 보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 형이 다시 딱 핵심만 정리해줄게!
1️⃣ 운임 전망
- 2024년 피크 시즌에 TAC Index 기준 +19.4% 상승
- 2025년에도 HKG-US 기준 분기별 $5.3~$7.4/lb 수준 전망
- 홍콩·상하이 출발 노선은 특히 전자상거래 수요 폭발 + 관세 이슈로 강세 유지 중
→ 운임은 하락보다 안정세 또는 추가 상승 쪽에 가까움
2️⃣ 수요 & 공급
- 수요 증가율: +4~6%
- 공급 증가율: +3~4%
- 여전히 수요가 공급보다 강한 구조,
특히 아시아발 고수요 노선에서 운임이 유지 또는 인상될 가능성 높음
→ 여객기 벨리 복귀 + 화물기 유지 → 공급 확대 있지만 여전히 불균형
3️⃣ 마켓 이슈
- 대한항공-아시아나 통합 → 한국 단일 FSC 출현
- 글로벌 순위 Top 10 진입 가능성
- 하지만, 국내 경쟁 감소, 운임 상승 우려, 슬롯 재분배 문제 등도 동반
→ 기회와 리스크가 동시에 존재하는 이슈
이렇게 2025년 1분기
경제전망, 해상운송 시장, 항공운송 시장에 대해서
차근차근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어. ✈️🚢📊
다음엔 또 다른 물류 이슈로 찾아올게!
긴 글 읽어줘서 정말 고마워. 😊
'물류·무역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급망 리스크 대응을 위한 디지털 전환1 - Post Covid 시대의 공급망 리스크⚠️ (2) | 2025.03.31 |
---|---|
🚢 2025 해운시장 전망, 공급은 늘었는데, 운임은 왜 오를까? (2) | 2025.03.30 |
🚢 TEU와 FEU, 도대체 얼마나 큰 걸까? (0) | 2025.03.30 |
🚢2025년(1분기), 해상운송 시장은 어떤 분위기일까? (0) | 2025.03.29 |
🌍 2025년(1분기), 세계 경제 어디로 가는 걸까? (3) | 2025.03.29 |